
안녕하세요 :0
오늘도레벨1입니다!
오늘은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성과 특징 그리고 모델과 서비스 유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드린바와 같이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원격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컴퓨터와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액세스하는 기술"
을 뜻한답니다.
오잉? 시작부터 무슨말인가 하시는 분은 아래 링크로 들어가셔서
이전 포스팅을 보시면 자세한 예시가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
1.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의 개념
안녕하세요:0 오늘도레벨1입니다! 어제 서울은 폭설이었고 오늘의 하늘은 맑지만 여전히 날씨가 넘흐 춥네요 ㅜㅜ 그래도 제주도는 2박3일 알차게 놀다왔는데요.. ㅎ (여행포스팅도 언젠가 한 번
seung9-it.tistory.com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발전되면서 수많은 기업들이 클라우드 컴퓨팅 체제로 전환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전환한다는 건 또 무슨말일까 싶죠?
기존의 기업들은 자체적으로 IT자원(컴퓨터, 서버 등)을 구매하고 도입하며
자체적으로 관리를 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는데, 이를 온프리미스(On-premiss)라고 부른답니다.
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체제로 전환하게되면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가상의 컴퓨터와 서버 등을 대여 방식으로 사용함으로써 IT자원과 인프라 구축에 드는 비용을 줄이고
IT자원의 관리와 유지 보수 또한 일종의 외주를 맡기게 되는 개념의 방식을 클라우드 컴퓨팅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럼 대체 기업은 무엇을, 얼마나 , 어떻게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제공받는 걸까요?
이 부분은 당연히 이번 포스팅 후반부에서 조금 더 자세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다시 돌아와서 최근의 수많은 기업들은 온프리미스 방식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체제로 전환을 하고 있습니다.
이 때, 기업이 고려해야하는 12가지의 특성이 있는데
공급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라면 당연히 이러한 12가지의 특성을 기본으로 갖춰야 하는 것이죠!
아래 표에 12가지 특성에 대해 자세히 기재하였으니 읽어보시고
아~~~ 클라우드는 특성을 가졌구나하고 넘어가시길 바랍니다 :0
표1. 클라우드 컴퓨팅 특성 (출처 : 처음 배우는 애저 / 김도균 저)
특성 | 설명 |
고가용성 | 운영 중지 없이 장시간 서비스 가동 시간을 보장합니다. |
확장성 | 작업 부하에 따라 직접 자원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 |
탄력성 | 작업 요구사항에 따라 자원을 자동으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 |
민첩성 | 컴퓨팅 자원 요구에 빠르게 응답합니다. |
내결함성 | 구성요소나 서비스 일부에 문제가 생겨도 클라우드 서비스 아키텍쳐가 이러한 문제에 대응해 지속적인 서비스를 가능하게 합니다. |
재해복구 | 클라우드 서비스를 중단시킨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이를 자동으로 복구하거나 빠르게 서비스를 다시 사용하게 합니다. |
글로벌 서비스 | 전 세계에 배치된 데이터센터를 통해 고객이 어디 있는지 가까운 곳에 서비스를 배포하게 고객은 보다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짧은 서비스 대기시간 | 한정적인 위치에 있는 데이터센터로 인해 사용자가 서비스를 제공받는 데 시간이 걸리는 경우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
비용 예측 | 사용자는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예측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
낮은 기술 요구사항 | 물리적 인프라 구축과 유지 관리에 필요한 기술 요구사항이 낮거나 없으므로 서비스 개발과 개선, 유지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생산성 향상 | 하드웨어 설정, 운영체제 및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나 패치 등 시간이 많이 드는 IT운영 작업이 필요 없으므로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는데 집중할 수 있습니다. |
보안 | 조직이 IT서비스 인프라 전반에 직접 보안을 제공하고 일정한 수준을 달성하려는 노력보다 더 적은 노력으로 보안 정책과 기술, 접근 제어 등의 전문 기술 역량을 제공하므로 더 빠르고 편리하게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내용이나 표현이 비슷해서 헷갈릴 수 있기에, 사견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하려 하는 중이거나 혹은
자격 시험을 준비중인 경우가 아니라면 아~~ 이러한 특징이 있구나하고 넘어가시면 될 듯 합니당.
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컴퓨팅은 IT자원 투자와 관리 면에서 두드러지는 3가지의 주요 특징이 있습니다.
1. 규모의 경제 (Economies of Scale)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와 같은 인프라를 도입할 때 대량으로 구매할 경우 더 저렴하고 좋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클라우드 공급 기업인 Microsoft나 Amazon의 경우 한 해 투자하는 IT인프라 비용이 엄청나서 이들에게 자원을 공급하는 회사는 소규모 조직이나 개인이 도입하는 비용보다 훨씬 저렴하게 제공하게 되죠. 그리고 이러한 클라우드 공급자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 또한 동일한 비용과 서비스 혜택을 누리게 되는 것입니다.
++ 규모의 경제라는 말이 생소하고 어려워서 위의 내용이 이해가 가지 않으실 분들을 위해 조금 더 쉬운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당 ++
만약, 여러분이 청바지를 판매하는 옷가게(소비자에게 서비스를 공급하는 회사)를 운영중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때마침, 청바지를 생산하는 제조업체(자원을 공급하는 회사)에서 500장 이상을 구매하면 추가 할인을 해준다고 합니다.
충분히 판매할 수 있는 수량이므로 여러분은 500장 이상을 들여왔고 더불어 소비자에게 파는 가격을 낮추어서 판매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그러니 더욱더 판매량은 늘고 소비자는 기존보다 저렴한 가격에 청바지를 구매하니 윈윈이죠?
이러한 개념이 위에서 말하는 '규모의 경제'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예시가 적절했을까요? 그럼 다음내용 이어서 갈게요!

2. 자본 지출과 운영비용 (Capital Expenditure and Operational Expenditure)
클라우드 컴퓨팅을 도입하기 전에 기업은 직접 건물을 매입하고 IT자원과 인프라를 구축해야 했으므로 초기 자본이 많이 필요하고 유지 비용, 감가 상각 등을 고려해야하죠. 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을 도입하면 초기 비용과 유지 및 관리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즉, 인프라 투자에 드는 비용을 자본 지출이라하고 서비스나 제품에 직접 지출하는 비용을 운영 비용이라고 하는데 기업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이러한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3. 소비 기반 모델 (Consumption-based Model)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사용한 자원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하는 종량제 방식입니다. 이러한 소비 기반 모델은 초기 가입 비용이나 사전 결제가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인프라 구매와 관리가 필요없으며 사용한 자원과 추가한 자원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합니다. 또한, 더 이상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즉시 비용 지불을 종료할 수 있어 포기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클라우드 컴퓨팅을 도입하기 전에 고려해야하는 12가지의 특성과
경제적인 관점에서 두드러지는 3가지 특징을 보았습니다.

다음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과 서비스 유형에 대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앞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무엇을, 얼마나, 어떻게 제공하는가에 대해 알아본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답은 서비스 사용자가
원하는 것(무엇)을 원하는 만큼(얼마나) 그리고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어떻게)
제공한다고 설명드릴 수 있겠습니다.
자세히 들어가보면,
클라우드 컴퓨팅은 서비스나 인프라에 액세스하는 사람과 소유권을 기준으로 3가지 모델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바로 퍼블릭(Public) 클라우드, 프라이빗(Private) 클라우드, 하이브리드(Hybrid) 클라우드 3가지입니다.
(위의 3가지는 각각 공공클라우드 or 공개형클라우드, 사설클라우드 or 폐쇄형클라우드, 혼합형클라우드라고 불리우기도 하니 참고하세요)
각각의 모델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은 아래 표에 기재하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표2.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에 따른 분류 (출처 : 처음 배우는 애저 / 김도균 저)
클라우드 모델 | 설명 |
퍼블릭(Public) | 서비스를 구매하거나 빌려 쓰기를 원하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지만, 인프라는 주로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가 소유합니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연결합니다. |
프라이빗(Private) | 주로 조직의 구성원과 파트너만 사용합니다. 기업이 자체 데이터센터에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를 만들고 소유하며 직접 관리합니다. 기업 내부의 네트워크나 안전한 보완 네트워크를 통한 외부 연결만 하용하며 이 모델은 기업 내 전문 기술과 지식을 갖춘 직원이 필요합니다. |
하이브리드(Hybrid) | 퍼블릭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사용 경험을 모두 제공할 수 있으며 적합한 위치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과 효율성, 확장성을 어느 정도 상호보완할 수 있습니다. 의료 정보처럼 조직이 법적 이유로 퍼블릭 클라우드로 모든 IT자원을 배치할 수 없는 경우 유용합니다. 기업은 퍼블리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 모두를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지만 두 가지 모델이 대한 이해와 지식이 필요합니다. |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소유와 공유 자원 책임 모델에 따라 서비스로서의 인프라(IaaS),
서비스로서의 플랫폼(PaaS),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SaaS)라는 3가지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표를 참고하여 주시고 그림을 보시면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표3.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유형에 따른 분류 (출처 : 처음 배우는 애저 / 김도균 저)
클라우드 유형 | 설명 |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서버, 운영체제, 가상머신, 네트워크, 스토리지와 같은 인프라를 임대 기반으로 제공합니다. |
PasS (Platform as a Service) |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를 개발, 테스트하고 배포하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인프라에 대한 관리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만들어 배포할 수 있습니다. |
SaaS (Software as a Service) | 클라우드 공급자가 중앙에서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호스팅하고 관리하며, 사용자는 구독 기반으로 인터넷을 통해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연결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즉, IaaS는 사용자의 관리와 책임이 가장 많이 부여되는 유형이고
PaaS는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실행, 데이터 관리에 해당하는 부분을 책임지는 유형이며
SaaS는 클라우드 공급자가 모든 부분을 제공하고 관리하며 최종 사용자는 자신의 데이터만 관리 및 책임지는 유형입니다.

지금까지 저희는 지난 포스팅의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에 이어서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성 및 특징
그리고 클라우드의 모델과 서비스 형태에 따라서 어떻게 분류되는지 공부해봤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시장에서 가장 인기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을 꼽으라면
당연히 점유율 1, 2위를 차지하고 있는 AWS(Amazon Web Service)와 Microsoft Azure를 꼽을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MS Azure를 공부하고 AZ-900 합격에 도전하고자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왜 점유율 1위인 AWS가 아니라 Azure를 골랐냐고 누군가 물어보신다면...
제 대답은 최근 돌풍을 불러일으키는 ChatGPT가 추후 유료 서비스를 Azure에서 선보인다고 하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따라서, 용어만 다를 뿐 개념을 공부하는 것이라면 제가 더 자주 사용할 것 같은 툴이 있는 쪽을 택하게 되었습니..다 ㅎㅎ
아무튼, 이제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소개를 마치며
다음 포스팅에는 Azure가 무엇인지 알아보는 글로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아차차 티스토리도 구독이 있더라고요? 구독과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킄큭
그리고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

'Lv01. 야!너두 클라우드! > 1. Azure Fundamentals : AZ-9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리소스 만들기/지우기 + Azure 포탈 살펴보기 (5) | 2023.01.17 |
---|---|
99. AZ-900 인증 시험 소개 및 응시 방법 (5) | 2023.01.06 |
4. Azure 사전 지식 (2) - Azure 리소스와 구독 (6) | 2023.01.05 |
3. Azure 사전 지식 (1) - 핵심 용어와 서비스 현황 파악 (2) | 2022.12.27 |
1.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의 개념 (2) | 2022.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