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0
오늘도레벨1입니다.
오늘은 Microsoft의 Azure 서비스에 대해 소개하고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다루기 전에 알아야하는 핵심 용어를 공부해보겠습니당.
지난 포스팅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라는 것의
12가지 특성과 3가지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고,
모델과 형태에 따라 서비스가 어떻게 구분되는지도 알아보았죠.
(복습이 필요하시거나 이전 포스팅을 보지 않으신분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시어 확인 부탁드립니다.)
1.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의 개념
안녕하세요:0 오늘도레벨1입니다! 어제 서울은 폭설이었고 오늘의 하늘은 맑지만 여전히 날씨가 넘흐 춥네요 ㅜㅜ 그래도 제주도는 2박3일 알차게 놀다왔는데요.. ㅎ (여행포스팅도 언젠가 한 번
seung9-it.tistory.com
2.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성과 특징 / 모델과 서비스 유형
안녕하세요 :0 오늘도레벨1입니다! 오늘은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성과 특징 그리고 모델과 서비스 유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드린바와 같이 "클라
seung9-it.tistory.com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라는 것을 글로벌하게 공급하는 업체는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저희가 공부하는 Microsoft의 Azure는 AWS(Amazon Web Service)에 이어 글로벌 2위를 차지하고 있네요!
하지만 상위권에 랭크되어 있다고 안주하지 않고
Azure의 글로벌 인프라는 지금도 확장되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을 지속적으로 시장에 선보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번 시간에는 이러한 Azure를 다루기 이전에 알아야하는 용어를 공부하고 서비스 현황을 살펴보면서
Azure의 개념적인 토대를 쌓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그럼 처음부터 한 번 시작해보죠.
자꾸 비슷한 말과 문구가 나와 왜이리 돌려말해 이러실 수 있지만 익숙해지는 과정을 위해
반복하고 되새기는 과정임을 이해하고 접근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당 :)
우선 Azure(애저)를 정의해보면!!!
기업 또는 개인의 비즈니스를 지원하기 위해 Microsoft(마이크로소프트)사가 지속적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투자를 확장 중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입니다.
그리고 사용자는 지금까지 사용해오던 익숙한 도구와 프레임워크를 통해
전 세계 네트워크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빠르고 편리하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 프레임워크는 어떠한 서비스의 뼈대라고 인식하고 넘어가시면 되는데
예를 들어, 취업을 위한 자기소개서를 작성한다면 자기소개서 폼이 프레임워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람은 항상 새로운 것을 배울때는 늘 시작에 있어서 처음 배우는 용어가 사람을 참 힘들게 합니다.
낯선 용어는 벽을 만들고 이미 알고 있는 용어의 다른 쓰임새는 혼동을 주게되죠.
따라서 이번 시간에 배우는 용어가 낯설고 혼동스러워도 차분하게 읽고 이해하고 넘어가면 좋겠네요.

다시 돌아와서, Azure의 글로벌 인프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5가지의 중요 용어를 알아야합니다.
지리(Geography)
지역(Region)
지역 쌍(Region Pair)
영역(Zone)
데이터센터(Data Center)
바로 이상의 5가지이며 그림과 같은 관계로 연결되어 있지요!
그럼 한 가지씩 살펴볼까요?
첫 번째는 데이터센터(Data Center)입니다.
데이터센터는 독립적인 전원, 냉각 장치, 네트워크를 갖춘 별도의 시설을 말합니다. 한국 남부와 중부에 위치한 각 데이터센터는 Microsoft가 LG U+와 KT의 데이터센터를 임차해 사용 중이고, 현재 부산의 미음 산업단지에 새로운 데이터센터를 건설중이라고 합니다.
두 번째는 영역(Zone)입니다.
하나 이상의 데이터센터를 가진 지역 내의 물리적인 별도 위치를 말합니다. 데이터 센터의 오류나 손상을 대비해 서비스의 논리적 격리와 중복성, 내결함성을 제공합니다. 한 지역에는 하나 이상의 영역이 있을 수 있으며 각 영역 간의 대기 시간은 2ms 이하를 보장합니다.
쉽게 말해, 영역은 데이터 센터의 집합입니다.
그런데 그 데이터 센터의 집합은 보통 하나 이상이죠.
이러한 각각의 영역들을 가용성 영역(Availability Zone)이라고 합니다.
가용성 영역은 다른 영역에 문제가 생겼을 때 복구와 복원을 돕는 역할을 하죠.
각 가용성 영역도 영역이라 하고 가용성 영역의 집합도 영역이라고 하고
그냥 영역도 영역이라하고 데이터 센터의 집합도 영역이라하고 어지럽죠?
쉽게 표현하면 아래와 같은 포함 관계라고 이해하시면 쉽겠습니다.
세번째는 지역(Region)입니다.
지역은 최상의 성능과 보안을 제공하기 위해 고속 네트워크로 연결된 데이터센터의 집합을 뜻하며 일정한 대기시간을 정의한 경계입니다. 현재 Azure는 61개 지역, 140개 국가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계속 확장되고 있습니다. 한국은 중부, 남부 2개의 지역을 제공하고 사용 가능한 지역과 국가의 수는 아래의 Azure 기술 문서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Azure 지역 및 가용성 영역이란?
지역 및 가용성 영역과 해당 영역이 안정성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작동 방식에 대해 알아봅니다.
learn.microsoft.com
네번째는 지역 쌍 (Region Pair)입니다.
지역 쌍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지리적 위치 내에 있는 2개의 지역을 말합니다. 하지만 예외로 브라질 남부는 미국 중남부와 쌍을 이룹니다. Azure는 계획된 유지 관리를 통해 쌍을 이루는 지역 중에서 한 번에 한 지역만 업데이트하여 비즈니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며 데이터 가용성을 보장합니다. 또한 자연재해, 내란, 정전, 물리적 네트워크 중단과 같은 문제로 인한 서비스 중단 가능성을 최소화합니다. 한국은 남부와 중부가 지역 쌍을 이루며, 지역 쌍의 전체 목록은아래의 Azure 기술 문서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Azure의 지역 간 복제
Azure의 지역 간 복제에 대해 알아봅니다.
learn.microsoft.com
영역이 지역안에 데이터센터와 별개로 존재하며 각 데이터센터의 백업 개념이었다면,
지역 쌍은 지역간 상호적으로 백업하는 경우라고 보면됩니다.
최근, 카카오사태 기억하시나요?
하나의 데이터센터에 데이터가 몰려있고
백업 센터가 없어 복구 능력을 상실하고 지연되며 발생한 사고였는데요.
만일 데이터의 백업과 복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백업 센터'가
한 영역 안(서울 또는 판교 인근)에 있었다면...이 때 '백업센터'를 '가용성 영역'에 빗대어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서울과 판교 경기 지역에 문제가 생김으로써 데이터센터와 백업센터가 문제가 생긴다면?
가용성 영역이 아무리 많아도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문제가 생기겠죠?
이렇게 한 지역에 통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대비하기 위해 있는 시설을 '지역 쌍'에 빗대어 설명할 수 있죠!
(지역 쌍의 개념을 배우고 나면 가용성 영역은 복수의 영역 쌍을 의미하는 것이라는게 생각되실 겁니다)
이러한 지역적 광범위한 사고를 대비하기 위해 Microsoft는
최소한 300마일(약483km)의 거리를 지역 쌍간에 두기 위해 노력한다고 하네요.
다섯번째는 지리(Geography)입니다.
지리는 2개 이상의 지역을 포함하고,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을 동일한 지리적 위치에 유지해야 하는 데이터 유지 및 규정 준수의 경계를 말합니다. 전용 고속 네트워크 인프라를 갖추고 지역에서 발생하는 장애에 내결함성을 제공합니다. 큰 범주의 지리적 위치를 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태평양, 중동 및 아프리카로 나누고 각 범주에 세부 지리를 포함합니다. 예를 들면, 아시아 태평양의 한국, 호주, 중국, 인도, 뉴질랜드, 일본을 포함합니다.
즉, 지역들의 집합이자 쉽게 말하면 Microsoft가 세계 어디서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축한 전 세계 규모의 컴퓨팅 인프라를 지리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5가지의 핵심 용어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해가 잘 되었을까요?

이처럼 세계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Microsoft Azure는 현재 23개의 서비스 범주에
무려 600개 이상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어떤 서비스가 있는지 알고 싶다면 아래의 Azure Service IO사이트를 통해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 Azure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와 각 서비스의 기술 문서를 찾아 볼 수 있습니다.
Azure Services Reference Map
Find how Azure services are interconnected
azureservices.io
또한, 지금 이 순간에도 Azure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Azure의 업데이트 현황과 로드맵을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Microsoft에서 클라우드 솔루션 아키텍트로 근무하는
알렉시 풀코브니코프의 개인 프로젝트인 아래 링크의 Azure차트에서 확인 가능하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Azure Charts - Clarity for the Cloud
Connecting the dots in cloud dynamics. Live interactive visual guide to Azure Cloud's current state.
azurecharts.com
이번 시간에는 Azure를 본격적으로 다루어 보기전 Azure 서비스가 어떻게 이루어 지는 것인지
핵심용어와 서비스 현황을 통해 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이해가 쉽게 되는 시간이 되었기를 바라며!
다음 시간에는 Azure의 리소스와 구독에 관한 내용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구독과 좋아요는 제게 큰 힘이 됩니다 :)

'Lv01. 야!너두 클라우드! > 1. Azure Fundamentals : AZ-9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리소스 만들기/지우기 + Azure 포탈 살펴보기 (5) | 2023.01.17 |
---|---|
99. AZ-900 인증 시험 소개 및 응시 방법 (5) | 2023.01.06 |
4. Azure 사전 지식 (2) - Azure 리소스와 구독 (6) | 2023.01.05 |
2.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성과 특징 / 모델과 서비스 유형 (3) | 2022.12.22 |
1.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의 개념 (2) | 2022.12.22 |